본문 바로가기
암호/블록체인

블록체인 6-1

by 주황딱지 2024. 12. 4.

이더리움: 생태계

이더리움의 역사


1. 이더리움 백서 작성
2013년 11월: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이더리움 백서(Ethereum White Paper)의 첫 번째 버전을 작성.
2. 이더리움 첫 공개 발표
2014년 1월 24일: 비탈릭 부테린이 마이애미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서 이더리움의 첫 번째 공개 발표를 진행.
3. 크라우드 세일 시작
2014년 7월 7일: 비탈릭 부테린이 공개 크라우드 세일의 시작을 발표.
크라우드 세일 기간: 총 42일 동안 진행 (9월 2일까지).
첫 14일: 1 BTC = 2000 ETH.
이후 기간:1 BTC = 1337 ETH.
4. 판매 결과
총 약 6000만 ETH가 판매됨.
31,591 비트코인이 모금되었으며 당시 약 1850만 달러(USD)의 가치를 이더리움 재단(Ethereum Foundation)에서 사용됨.


Crowdsale Statistics(크라우드 세일 통계)

첫 14일간의 판매 기간 (First 14 Day Period):
첫 14일 동안 약 4800만 ETH가 판매됨.
대부분의 ETH는 판매 시작과 기간 종료 직전에 판매됨.
가장 큰 단일 구매: 500 BTC로 약 100만 ETH 구매.
가장 작은 구매: 0.01 BTC.
구매 통계: 43.6%의 구매자는 2000 ETH 이상 구매. 0.8%의 구매자는 20만 ETH 이상 구매.
개발 팀 배정: 총 11,901,464.23948 ETH가 이더리움 개발 팀에 할당됨.


White paper

 

첫 번째 초안: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2013년에 작성.
발표: 이 백서는 2014년에 비탈릭 부테린이 처음 공개.
주요 내용
고수준의 설명 포함: 이더리움의 핵심 기능(core functionalities)에 대한 고수준 설명을 담고 있음.
계속 업데이트되는 문서: 백서는 라이브 문서(living document)로, 비탈릭 부테린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의 핵심 개발자들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포괄적 요약 제공: 이더리움 플랫폼과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요약 포함.

 

Yellow Paper

개요
출판 시기:2014년 4월.
저자: Dr. Gavin Wood / 현재까지도 유일한 저자로 등록되어 있음.
내용:

기술 사양 정의 (Technical Specification): 이더리움의 기술 사양을 정의.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 제공.
매우 상세한 설명: 수학적 함수 정의와 바이트 코드 매핑 포함.
풀 노드 구현 필수 문서: 이더리움의 풀 노드를 구현하려면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문서.
업데이트: 오류 발견 또는 사양 변경 시에만 업데이트.


Foundation(재단)

 

이더리움 재단의 목표(Mission):
이더리움 플랫폼과 기초 레이어 연구, 개발 및 교육을 지원 및 홍보.
탈중앙화 프로토콜 및 도구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다음 세대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s)을 제작하도록 지원.
더욱 글로벌하고 자유로우며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구축에 기여.

설립 시기 및 장소: 2014년 6월, 스위스 주크(Zug)에서 설립.
조직 형태: 비영리 단체 (Non-profit Organization).
조직 구성:
재단 이사회 (Foundation Council):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
패트릭 스토르체네거(Patrick Storchenegger): 법적 문제를 담당.
보유 자산: 크라우드 세일(Crowdsale)을 통해 조달된 자본으로 최소 31,591 BTC 보유.


Proof-of-Stake로의 전환 (The Merge)
2022년 9월: 이더리움은 기존의 작업 증명(Proof-of-Work, PoW)에서 지분 증명(Proof-of-Stake, PoS) 기반 합의 메커니즘으로 전환. 이 과정은 "The Merge"로 알려짐.
네트워크 해시율 변화
해시율 최고점 (May 2022): 네트워크 해시율이 약 1,126,674 GH/s로 최고치 기록.
대부분의 마이닝은 GPU를 사용했으며, 이더리움은 ASIC 마이너에 강한 저항성을 가짐.
전환 후 하락: PoW에서 PoS로 전환되면서 마이닝이 중단됨.
이는 그래프에서 해시율이 급격히 감소한 이유를 설명.

 

전력 소비
2022년 8월: 연간 전력 소비량이 약 93.98 TWh로 추정.
이 시점에서 에너지 소비는 매우 높았음.
2023년 3월 이후: 연간 전력 소비량이 약 0.01 TWh/h로 급감.
PoS 전환 후 전력 소비 감소는 매우 극적.

"What happened? Did miners quit?"
작업 증명 기반 마이닝이 중단되면서, 많은 마이너들이 네트워크에서 떠났음.
이는 PoS로의 전환이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개선했음을 의미.

 

 

 

 

 

 

 

 

 

 

 

 

 

반응형

'암호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6-3  (1) 2024.12.05
블록체인 6-2  (1) 2024.12.05
블록체인 5-3  (2) 2024.12.04
블록체인 5-2  (0) 2024.12.04
블록체인 5-1  (1)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