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기본 원리
기술적: 중앙 집권화 벗어나기 = 블록 체인 기록 다 남아있음= 투명성
기능적: 신뢰성 보장
블록체인 특징
중개인 삭제 = 신뢰성
분산화, 불변성, 자동화
사람들이 생각하는 블록체인:
차트
비판적 사고
Proof-of-Work: 채굴=하는데 자원쓴다
검은돈에 쓰임, 랜섬웨어
블록체인의 예시
fianance
가상화폐
플랫폼 없이 서로 바로 펀딩
코인 상장
automative
공급망 이동 저장
자동차 디지털 정보 저장
pharma and medical
처방 내용
의료기록
암튼 많이 있음
결론: 정보 기록에 이점, 중앙화 되지않는 시스템에 사용
디지털 뱃지: 내가 자라오면서 교육받은것을 뱃지화시킴
1.
2. 입력이 들어오면 무조건 돌아감 = smart contract
- Smart contract:
DRM, 결제, 센서와 연결을 가능하게 하려 함.
이더리움: smart contract + decentralized app platform, solidity라는 언어사용, 암호학적 방법으로 안전하고 불변하는 계약서 만들기
erc-20: 이더리움으로 다른 코인 만듦
wallet: 주소, 소유된 기술들 보관
if: 블록체인에 문제가 생기면 = fork: 기존 내용을 복사해 그대로 생성
hard fork: 대대적 개편이 필요함, 싹다 엎어 = 호환 x
soft fork: 조금 문제가 있으면 이전 버전과 상호 호환 가능
- Smart contract platform
for example)
safe transfusion medicine
blood product supply chain invoving
- clinics
- labs
- logistic company
- blood doctor center
3. Blockchain-based system engineering
블록체인 기술 대입 시 고려사항
현실성
지속 가능성
이익성
+ 법적(정부)의 의존성 영향: ex)규제
블록체인은 더블베럴샷건이 아니다
블록체인 기술로 무엇이 가능/불가 한가
- 도메인과 블록체인 기술 접목 불가
- 참여하는 수준이 같은 엔티티가 많을 때, 그들을 서로 못믿고, 데이터가 공개적으로 verify한지에서 가능
98% 중앙화 솔루션
중앙화 플랫폼: 한번에 관리, 규칙화됨 /문제점: 플랫폼 제공자에게 의존해야함
permissionless 플랫폼(블록체인 네트워크): 공공재 비용 줄이기, 신기술 창출 / 사실여부의 데이터를 확인 가능, 기록 다남음, 신뢰성 부여, 데이터 손실 걱정 x, waleet의 이점 /문제점: 가상화폐의 의존성 강제됨, 접근에 제한이 있음, 네트워크 방면에서 중앙집권화 생성 가능성
블록체인 별 TPS(Transactions per sec)
permissioned 블록체인 플랫폼:
Governance Challenge:
Appedix:현재 연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