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IPS(Internet Protocol Stack)
실제에서의 네트워크 계층들.
- 오늘날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우리는 7개 레이어의 OSI 모델을 따르지 않는다.
- 인터넷 스택과 서비스들에서 프레젠테이션 및 세션 계층이 누락되었으며, 이 계층들이 필요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해야 한다.
- 또한 데이터 링크 계층은 이론적으로 MAC(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과 LLC(링크 계층 제어) 계층으로 나뉜다. 하지만 실제로도 LLC 계층은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구현되지 않는다.
- 따라서 현재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5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TCP/IP stacks:
- application: 네트워크 앱들을 지원해준다.(message) / FTP, SMTP, HTTP, DNS
- transport: 프로세스-프로세스 간 데이터를 전송한다.(segment) / TCP, UDP, SCTP, DCCP, RSVP
- network: 주소 지정, src에서 dst로 데이터그램을 라우팅한다.(packet/datagram) / IP, ICMP, IGMP, IPsec
- link: 인접 네트워크 요소 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frame) / PPP, Ethernet, DSL, FDDI, WIFI
- physical bit: 유선으로 있는 비트들, 데이터 연결의 물리적, 전기적 특징을 쓴다.(bit) / RS-232, 10BASES, USB, Bluetooth
캡슐화
계층모델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각 계층을 지나게 된다.
이때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온 정보를 데이터로 취급하며 자신의 계층 특성을 담은 제어정보(주소,에러제어 등)를 헤더화시켜,이를 붙이는(포장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4. 네트워킹 하드웨어
네트워킹 하드웨어 구조
gateway: 이 장치는 네트워크 노드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프로토콜(프로토콜 변환)을 사용하는 다른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한다.
- OSI 4-7계층에서 작동한다.
router: 라우팅 테이블 또는 라우팅 정책의 정보를 사용하여 패킷을 다음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와 달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인터페이스할 수 없다.
- OSI 3계층에서 작동한다.
- 패킷 교환: 라우터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여러 경로 중에 최적의 경로를 IP 주소를 보고 결정(경로 결정)하여 결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 라우팅 테이블: 패킷마다 그때 그때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는 인접한 라우터들과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각 목적지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미리 계산하여 이를 테이블 형태로 가지고 있는다.
switch: 한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트래픽을 특정 회선(의도된 목적지)에 할당하여 세그먼트를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장치이다. 허브와 달리 스위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할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시스템이 아닌 각기 다른 목적지로 보낸다.
- OSI 2계층에서 작동한다.
- 두 개 이상의 LAN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한 세그먼트에서 다른 세그먼트로의 패킷 전송 여부를 MAC 주소를 보고 결정한다.
- 세그먼트: 라우터 없이도 물리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장치들의 집합.
bridge: 데이터 링크 계층을 따라 여러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 OSI 2계층에서 작동한다.
hub: 여러 이더넷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세그먼트로 작동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허브를 사용할 때 연결된 모든 장치는 동일한 방송 도메인과 동일한 충돌 도메인을 공유한다. 따라서 허브에 연결된 컴퓨터는 한 번에 하나만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허브는 네트워크 객체(워크스테이션, 서버 등) 간에 기본 레벨 1 OSI 모델 연결을 제공한다. 개별 노드 간에 연결을 제공하는 스위치와 달리 모든 객체 간에 공유되는 대역폭을 제공한다.
- OSI 1계층에서 작동한다.
- collision domain: 충돌 도메인으로 동시에 통신을 했을 때 충돌하는 도메인을 뜻한다. A와 B가 동일한 충돌 도메인에서 통신할 경우 다른 PC들은 통신을 못한다.
repeater: 네트워크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전송하는 동안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거나 재생하는 장치이다.
- OSI 1계층에서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