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데이터처리 프로그래밍

데이터처리프로그래밍 2주차

by 주황딱지 2024. 9. 11.

파이썬 기초

빠르게 슛 해보자

 

name: 변수 명 정하기

  • 부등호를 중심으로 왼쪽은 이름, 즉, 오른쪽 값이다. /ex) hours_per_wk = 24 * 7
  • 변수는 막 짓지 말고 상징성이 있어야함 = 값과 연관이 있다

function: 함수

 

f(24): 함수 f안에 24의 값을 넣는다.

max(14, 26): max함수 발동(안의 숫자는 변수)


tables: 테이블

 

테이블 구조: 테이블 구조는 위에서 아래로 column, 좌에서 우로 row, 맨 상위에 label로 이루어져 있다

 

  • Row: 하나의 개체를 label별로 표현한 것.
  • Column: 개채 별 label을 나열한 것.
  • Label: 기둥의 값의 이름.

 

table 연산자:

  • t.select(label): 지정된 column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테이블 생성
  • t.drop(label): 지정된 column들을 제외하고 새로운 테이블 생성
  • t.sort(label): 지정된 column으로 정렬된 row들과 함께 테이블 생성
  • t.where(label, condition): 그 조건에 맞는 row들만으로 새로운 테이블 생성

numbers: 정수형, 실수형

 

int: 모든 크기의 정수

float: 분수를 포함한 실수

int형은 소수점을 갖지 않는다.

float형은 과학적 표기법도 가능(N:힘의 크기, kg: 무게)

float의 세 가지 한계:

  •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하지만 크긴 함)
  • 소수점 15~16자리까지 구현
  • 산술 후 소수점 이하의 마지막 몇 자리는 틀릴 수 있다

strings: 문자열

 

문자열은 '문자' ,"문자" 형태로 만들수 있다.

숫자를 포함한 문자열은 숫자로 바꿀 수 있다. int('12') = 12, float('1.2') = 1.2 / '12' != 12

모든 값은 문자열로 변형시킬 수 있다.

문자열과 숫자끼리는 사칙연산이 불가하다.

 

type: 데이터 타입

 

우리는 5가지 데이터 타입을 봤다: 변수, 실수, 정수, 문자열, 테이블

type(): 무슨 데이터 타입인지 알려줌

데이터 타입은 '값'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x=2 >> x는 2인가, 변수인가/ 정답은 2

 

 

 

 

반응형